분류 전체보기51 로스팅 공정 생두 투입 1차 크랙 시티 로스트 2차 크랙 다크 로스트 냉각 지난번에 로스팅이란 개념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드린 적이 있습니다. 로스팅은 커피 맛을 좌우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하나로 생두에 열을 가해 커피의 신맛, 단맛, 쓴맛을 형성하는 기술입니다. 오늘은 로스팅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지 살펴보고 각 과정별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스팅 방법과 장비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대형 카페나 프랜차이즈에서 사용하는 대형 직화식 로스터기를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생두 투입 대형 회전 드럼에 생두를 투입합니다. 원하는 로스팅 단계(블론드, 미디엄, 다크)에 따라 드럼을 11~15분 동안 180~240도까지 가열합니다. 첫 5~6분 동안 로스팅 머신은 건조기처럼 작동하여 생두의 수분을 증발시킵니다. 6분 정도 지나면 대부분 수분이 .. 2024. 1. 3. 지역별 커피 생산 국가(4) - 아시아/태평양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로부스타 커피가 대규모로 생산되는 지역이지만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동티모르, 베트남, 중국 등에서 아라비카 원두도 생산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된 커피는 풍부한 바디감, 흙과 향신료의 향기, 제한된 산미가 주는 독특함이 인상적입니다. 오늘은 아시아의 어떤 국가에서 어떤 커피가 생산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적도 부근 바다에 걸쳐 있는 수 천 개의 화산섬으로 구성된 국가입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아라비카 커피 생산지 중 하나이며 독특한 풍미를 자랑하는 수마트라 원두가 생산되는 수마트라 섬이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산악 지역에서는 안개에 휩싸인 논과 계곡 위로 화산의 경사면이 드러나 있습니다. 이러한 비옥한 토양과 고산지대가 제공하는 미.. 2024. 1. 3. 지역별 커피 생산 국가(3) - 아프리카 아프리카는 칼디와 춤추는 염소라는 전설이 이어져 올 만큼 깊은 커피역사를 자랑합니다. 커피에 대한 역사가 깊은 만큼 아프리카에서는 높은 품질의 기준이 되는 우수한 커피가 많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서쪽에서는 루웬조리산이 비와 눈이 녹은 물을 저지대에 공급하고 있고 동쪽으로 열대 초원, 화구호, 열대 우림, 고산지대 등 다양한 지리적 특성이 이어지는 지역입니다. 아프리카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두는 꽃 향기와 독특한 과일 및 시트러스 향을 느낄 수 있으며 강한 산미에서 비롯되는 상쾌한 풍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동아프리카 지역에는 커피의 원산지 에티오피아가 있습니다. 에티오피아는 가정에서 커피를 마시는 것을 수백 년간 문화로 자리매김해 온 국가입니다. 그 영향으로 다른 국가들이 수출을 위해 커피를 재.. 2024. 1. 2. 지역별 커피 생산 국가(2) - 남아메리카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대륙이 남아메리카는 안데스 사막과 아마존 강 그리고 열대우림, 고원 및 습지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마존 강은 세게에서 나일강 다음으로 긴 강으로 생태계의 보고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커피 벨트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대륙 산맥인 안데스 산맥이 위치해 있으며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와 같은 커피 재배 국가가 이곳에 걸쳐 있습니다. 이곳의 커피 농장들은 안데스 산맥의 경사면을 따라 흩어져 있는데 고산지대의 이점과 더불어 풍부한 일조량, 비옥한 토양을 기반으로 하여 커피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콜롬비아는 남아메리카 제일 위, 안데스 산맥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에는 화산이 많기 때문에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토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 2023. 12. 29.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 반응형